맨위로가기

프리드리히 1세 (신성 로마 황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프리드리히 1세는 1152년부터 1190년까지 신성 로마 제국의 황제로 재위했으며, 호엔슈타우펜 가문 출신이다. 그는 독일 왕으로 선출된 후 이탈리아 정책을 추진하며 제국의 권위를 회복하려 했으나, 교황과의 갈등과 롬바르디아 동맹과의 대립으로 어려움을 겪었다. 제3차 십자군에 참여하여 원정 중 사망했으며, 그의 죽음은 십자군에 혼란을 야기했다. 프리드리히 1세는 강력한 군주로 평가받지만, 이탈리아 정책 실패와 교황과의 갈등으로 비판받기도 한다. 독일에서는 그를 영웅적인 군주로 묘사하는 전설이 전해져 내려오며, 20세기에는 나치 독일의 군사 작전에 그의 이름이 사용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프리드리히 1세 (신성 로마 황제) - 오라녜 공
    오라녜 공은 신성 로마 제국 황제 프리드리히 1세의 작위로 시작되었고, 오라녜-나사우 가문의 네덜란드 왕실 기원이자, 현재 네덜란드 왕위 계승자가 사용하는 칭호이다.
  • 프리드리히 1세 (신성 로마 황제) - 레냐노 전투
    레냐노 전투는 1176년 신성 로마 제국 프리드리히 1세와 롬바르디아 동맹 간의 전투로, 롬바르디아 동맹이 승리하여 북부 이탈리아 도시들의 자치권을 지켜냈으며, 중세 보병의 전술적 중요성을 보여주는 사건이다.
  • 1123년 출생 - 금 세종
    해릉왕 완안량의 폭정으로 옹립된 금 세종은 남송과의 관계 재정립, 거란족 반란 진압 등 내정 안정과 여진족 문화 부흥을 통해 금나라의 전성기를 이끌어 '소요순'이라 불리며 그의 치세는 '대정의 치'로 칭송받는다.
  • 1123년 출생 - 미나모토노 요시토모
    미나모토노 요시토모는 헤이안 시대 말기의 무장으로, 호겐의 난에서 아버지와 동생들을 처형하고 헤이지의 난에서 패배하여 암살당했으며, 그의 아들 요리토모는 가마쿠라 막부를 세웠다.
  • 산중휴거 - 아서왕
    아서왕은 5~6세기 브리튼의 전설적인 왕으로, 역사적 실존 여부는 불분명하지만, 12세기 몬머스의 제프리가 쓴 《브리타니아 열왕사》를 통해 아서 왕 전설이 정립되어 중세 문학 전통에서 널리 다루어졌다.
  • 산중휴거 - 홀거 단스케
    홀거 단스케는 다양한 이름으로 불리는 덴마크의 전설적인 영웅으로, 여러 문학 작품에서 샤를마뉴 대제와 대립하거나 기사로 활약하며, 덴마크에서는 국가적 영웅으로 추앙받고 덴마크 민족 정체성을 형성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 현대 대중문화 작품의 소재로 활용된다.
프리드리히 1세 (신성 로마 황제) - [인물]에 관한 문서
지도 정보
기본 정보
1171년 그의 대부였던 카펜베르크 백작 오토에게 주어진 프리드리히의 황금 흉상. 이 흉상은 카펜베르크 수도원에서 성유물함으로 사용되었으며, 기증 증서에는 "황제의 모습을 본떠 만들었다"고 명시되어 있다.
이름프리드리히 1세
로마자 표기Friedrich I
이탈리아어 표기Federico I
별칭Barbarossa (바르바로사)
Kaiser Rotbart (카이저 로트바르트)
작위
신성 로마 황제재위: 1155년 - 1190년 6월 10일
대관: 1155년 6월 18일, 로마
전임: 로타르 3세
후임: 하인리히 6세
이탈리아 왕재위: 1155년 - 1190년 6월 10일
대관: 1155년 4월 24일, 파비아
전임: 콘라트 3세
후임: 하인리히 6세
독일 왕재위: 1152년 3월 4일 - 1190년 6월 10일
대관: 1152년 3월 9일, 아헨
전임: 콘라트 3세
후임: 하인리히 6세
부르고뉴 왕재위: 1152년 - 1190년 6월 10일
대관: 1178년 6월 30일, 아를
슈바벤 공작재위: 1147년 4월 6일 - 1152년 3월 4일
전임: 프리드리히 2세 (슈바벤 공작)
후임: 프리드리히 4세 (슈바벤 공작)
생애
출생일1122년 12월 중순
출생지하겐나우, 슈바벤 공국, 독일 왕국 (현재 프랑스)
사망일1190년 6월 10일
사망지살레프 강, 킬리키아 아르메니아 왕국 (현재 터키 괴크수 강, 실리프케)
매장지안티오키아의 성 베드로 교회 (살)
티레 대성당 (뼈)
타르수스의 성 바울 교회 (심장과 내장)
가문
왕가호엔슈타우펜 가문
아버지프리드리히 2세 (슈바벤 공작)
어머니유디트 폰 바이에른
결혼
배우자아델하이트 폰 포부르크 (1147년 결혼, 1153년 이혼)
베아트리체 1세 (부르고뉴 여백작) (1156년 결혼, 1184년 사망)
자녀
자녀프리드리히 5세 (슈바벤 공작)
하인리히 6세 (신성 로마 황제)
프리드리히 6세 (슈바벤 공작)
오토 1세 (부르고뉴 백작)
콘라트 2세 (슈바벤 공작)
필리프, 독일 왕

2. 생애

프리드리히 1세는 1122년 호엔슈타우펜 가의 슈바벤 공작 프리드리히 2세와 벨프 가의 바이에른의 유디트 사이에서 태어났다.[6] 그의 가문은 당시 독일에서 가장 강력한 가문 중 하나였다. 프리드리히는 외가와 친가를 통해 살리안 왕조와 오토 대제의 혈통을 이어받았다. 그는 어린 시절부터 승마, 사냥, 무기 사용을 배웠지만, 읽고 쓰는 것은 배우지 못했고 나중에야 라틴어를 익혔다.

1147년, 아버지의 뒤를 이어 슈바벤 공작이 되었고, 곧바로 삼촌인 독일 왕 콘라트 3세와 함께 제2차 십자군에 참여했다. 비록 원정은 실패했지만, 프리드리히는 뛰어난 활약으로 왕의 신임을 얻었다.[7] 1152년 콘라트 3세가 사망할 당시, 프리드리히 1세와 밤베르크 공작 주교만이 임종을 지켰다. 두 사람은 콘라트 3세가 자신의 아들이 아닌 프리드리히 1세를 후계자로 지명했다고 증언했다.[7] 이후 제후들은 프리드리히 1세를 독일 왕으로 선출했고, 그는 며칠 뒤 아헨에서 로마 왕으로 즉위했다.[8]

13세기 스트라스부르 대성당의 프리드리히 1세 스테인드글라스


프리드리히 1세는 샤를마뉴와 오토 1세 시대의 제국을 복원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독일 내 질서 회복이 우선이라 판단하고, 귀족들에게 많은 양보를 하며 평화를 추구했다.[16] 덴마크 내전에 개입하고, 비잔티움 제국과 협상을 시작했다. 또한, 자식이 없었던 아내 포흐부르크의 아델하이트와 이혼하고, 콘스탄티노폴리스에서 새 신부를 찾으려 했으나 실패했다. 1153년, 콘스탄츠 조약을 통해 교황에게 교황청 보호를 약속했다.[15]

즉위 후 제국의 혼란을 수습하기 위해, 숙적이자 사촌인 벨프 가의 하인리히 사자공에게 바이에른 공작 작위를 주는 등 화해 정책을 펼쳤다.[125][126] 또한, 바벤베르크 가의 하인리히 야소미르고트에게는 오스트리아를 공국으로 승격시켜주며 관계를 개선했다.[127]

2. 1. 이탈리아 정책과 교황과의 갈등

프리드리히 1세는 신성 로마 제국을 샤를마뉴와 오토 1세 때의 위상으로 되돌리려는 열망으로 이탈리아 정책을 적극 추진하여, 이탈리아에 6차례 원정을 감행했다.[15] 첫 번째 원정은 교황 하드리아노 4세로부터 신성 로마 황제 대관을 받기 위한 것이었고, 1155년 가을에 더 중요한 전역을 위해 이탈리아를 떠났다.[15]

1158년 6월, 프리드리히 1세는 두 번째 이탈리아 원정을 시작했다. 이 원정으로 북이탈리아의 밀라노 반란을 진압하고 제국 관료 통치를 확립했으나, 교황 알렉산데르 3세와의 긴 투쟁이 시작되었다.[15] 1160년, 교황의 파문에 대항하여 옥타비아누스 추기경을 대립교황 빅토르 4세로 옹립했다.[41] 1163년 이탈리아 방문에서 시칠리아 정복을 시도했으나, 제국 세금에 반대하는 동맹으로 인해 계획을 포기해야 했다.[15]

1166년 10월, 프리드리히 1세는 황제파 대립교황 파스칼 3세를 보호하고 아내 베아트리체를 신성 로마 황후로 즉위시키기 위해 다시 이탈리아로 갔다. 몬테 포르치오 전투에서 로마인에게 승리했으나, 전염병으로 인해 원정이 중단되고 독일로 돌아가 6년간 머물렀다.[51]

1174년, 프리드리히 1세는 5번째 이탈리아 원정을 떠났으나, 롬바르디아 동맹의 반대에 직면했다. 1176년 5월 29일, 레냐노 전투에서 대패하고 부상당했으며, 한때 사망한 것으로 여겨졌다.[60] 이로 인해 롬바르디아 동맹 및 교황 알렉산데르 3세와 평화 협상을 할 수밖에 없었다. 1177년 7월 베네치아 조약에서 알렉산데르 3세를 교황으로 인정하고, 교황령 주권을 인정하는 대신 황제의 제국 교회 주권을 인정받았다. 1183년 콘스탄츠 조약을 통해 롬바르디아 도시들의 시장 선출권을 인정했다.[65]

2. 2. 제3차 십자군 원정과 죽음

제3차 십자군 원정의 경로, 프리드리히 1세의 경로는 빨간색


1187년 11월 23일경, 프리드리히 1세는 근동의 십자군 국가 통치자들로부터 지원을 간청하는 편지를 받았다. 1188년 3월 27일, 마인츠 국왕 회의에서 뷔르츠부르크 주교 슈피첸베르크의 고트프리트는 십자군 설교를 했고, 프리드리히 1세는 의회에 자신이 십자군 십자가를 받아야 하는지 물었다. 의회의 만장일치 환호 속에 그는 십자군 서약을 했으며, 그의 둘째 아들인 슈바벤 공작도 뒤따랐다.[77] 프리드리히 1세는 마인츠에서 "이교도에 대한 일반적인 원정"을 선포하고, 1188년 4월 17일부터 1189년 4월 8일까지를 준비 기간으로 설정, 1189년 4월 23일에 레겐스부르크에서 군대를 집결하도록 했다.[77]

1189년, 프리드리히 1세는 필리프 2세, 리처드 1세와 함께 제3차 십자군에 참여했다.[145] 1220년대의 한 자료에 따르면, 그는 10만 명(기사 2만 명 포함)의 대군을 조직하여 육로로 성지로 출발했다.[77] 그러나 현대 학자들은 불완전한 당시 자료를 바탕으로 그의 군대 규모를 기사 3,000~4,000명을 포함한 1만 2,000~1만 5,000명으로 추정하며, 이 숫자가 부정확하다고 믿는다.[78]

1189년 5월 11일, 군대 대부분이 이미 육로로 헝가리로 출발한 후, 프리드리히 1세는 레겐스부르크에서 다뉴브 강을 따라 항해했다. 십자군은 헝가리, 세르비아, 불가리아를 거쳐 비잔티움 영토로 진입했다. 헝가리에 있는 동안 프리드리히 1세는 헝가리 왕 벨라 3세의 형제인 게자 왕자에게 십자군 참여를 요청했고, 왕이 동의하여 게자가 이끄는 2,000명의 헝가리 군대가 독일 황제의 군대를 호위했다. 이후 프리드리히 1세는 필리포폴리스를 거쳐 1189년 가을 아드리아노플에 도착했는데, 이는 아나톨리아의 겨울 기후를 피하기 위해서였다. 1190년 3월, 프리드리히 1세는 아시아로 가기 위해 아드리아노플에서 갈리폴리로 떠났다.

서유럽 군대는 아나톨리아를 지나 필로멜리온 전투와 이코니움 전투에서 승리하고,[80] 킬리키아 아르메니아에 도달했다. 프리드리히 1세의 승리는 아크르 공성전에서 병력을 약화시키고 독일군의 도착을 막기 위해 북쪽으로 군대를 보내야 했던 살라딘을 크게 걱정시켰다.

프리드리히 1세의 죽음, 고타 사본의 《작센 세계 연대기》에서 발췌


1879년, 요한 네포무크 제프가 이끄는 독일 탐험대가 티레 대성당 폐허에서 유골을 발굴하는 모습


튀르키예 메르신 주 실리프케 근처의 프리드리히 바르바로사 기념비. 터키어와 독일어로 프리드리히가 근처에서 익사했다는 내용이 적혀 있다.


프리드리히 1세는 현지 아르메니아인들의 조언에 따라 살레프 강을 따라가는 지름길을 택했고, 군대는 산길을 따라 이동했다. 1190년 6월 10일, 소아시아 남동부 킬리키아의 살레프 강에서 수영하던 중 67세의 나이로 사망했다.[81] 이 사건에 대한 여러 기록이 있다.[82]

  • "안스베르트"에 따르면, 황제는 모두의 만류에도 불구하고 강을 헤엄쳐 건너려다 물살에 휩쓸렸다.
  • 다른 기록에는 프리드리히 1세가 강을 건너다 말에서 떨어져 무거운 갑옷 때문에 익사했다고 적혀 있다.[83]
  • 연대기 작가 이븐 알아시르는 "왕이 몸을 씻으러 강에 갔다가 허리에도 닿지 않는 곳에서 익사했다. 신은 우리를 그러한 악인의 손아귀에서 구원하셨다."라고 기록했다.[84][85]
  • 십자군에 동행했던 한 교회인이 쓴 "프리드리히 황제의 죽음에 관한 편지"에는 "그[프리드리히 1세]가 지난 달과 그 이상의 많은 힘든 일을 겪은 후, 강에서 목욕을 하기로 했습니다. 수영으로 시원해지고 싶어했습니다. 그러나 신의 비밀스러운 심판으로 예기치 못한 슬픈 죽음을 맞이하여 익사했습니다."라고 기록되어 있다.[86]


프리드리히 1세의 죽음으로 수천 명의 독일 군인이 군대를 떠나 키리키아와 시리아 항구를 통해 고향으로 돌아갔다. 독일-헝가리 군대는 안티오크 근처에서 질병으로 더욱 약화되었다. 프리드리히 1세의 아들 프리드리히 6세는 헝가리 왕자 게자의 지휘 아래 헝가리 군대와 함께 남은 독일군을 이끌고 황제를 예루살렘에 매장하려 했으나, 식초로 시신을 보존하려는 노력은 실패했다. 결국 그의 시신은 안티오크 성 베드로 대성당에, 뼈는 티레 대성당에, 심장과 내장은 성 바울 교회(타르수스)에 매장되었다.[87][88]

프리드리히 1세의 갑작스러운 죽음으로 십자군은 해체되었고, 리처드 1세는 동쪽으로 진군하여 살라딘과 싸워 팔레스타인 해안 영토를 얻었지만, 예루살렘을 정복하지 못하고 람라 조약을 체결한 후 귀국했다.

3. 가족 관계

프리드리히 1세는 두 번 결혼했다.

첫 번째 부인은 포부르크의 아델하이트였는데, 둘 사이에는 자녀가 없었고 1153년에 이혼했다.[115]

두 번째 부인은 부르고뉴의 베아트리체로,[115] 슬하에 8남 4녀를 두었다.[116]

프리드리히 1세의 자녀
이름출생사망비고
베아트리스1162년 말/1163년 초1174년 초/1179년 이후시칠리아의 빌헬름 2세와 약혼했으나 성사되지 않음.
슈바벤 공작 프리드리히 5세1164년 7월 16일1170년 11월 28일
신성 로마 제국 황제 하인리히 6세1165년 11월1197년 9월 28일[115]
콘라트 (슈바벤 공작 프리드리히 6세)1167년 2월1191년 1월 20일형의 사후 슈바벤 공작 프리드리히 6세로 개명.[115]
기젤라1168년 10월/11월1184년 말푸아티에 백작 리처드(훗날 잉글랜드 왕)와 약혼했으나 결혼 전에 사망.
부르고뉴 백작 오토 1세1170년 6월/7월1200년 1월 13일베장송에서 살해됨.[115]
슈바벤 공작 콘라트 2세1172년 2월/3월1196년 8월 15일두를라흐에서 살해됨.[115]
라인알트1173년 10월/11월1174년 4월 이전/1178년 10월 이후로르히 수도원에 매장.
빌헬름1175년 6월/7월1178년 10월 이후로르히 수도원에 매장.
필립1177년 2월/3월1208년 6월 21일밤베르크에서 살해됨. 1198년 독일 왕이 됨.[115]
Agnes von Staufen|호엔슈타우펜의 아그네스de1179년 초1184년 10월 8일헝가리의 임레 왕과 약혼했으나 결혼 전에 사망.


4. 평가 및 유산

프리드리히 1세는 중세 유럽에서 가장 강력한 군주 중 한 명으로 평가받는다. 그의 통치 기간 동안 신성 로마 제국은 일시적으로 권위를 회복했지만, 잦은 이탈리아 원정과 교황과의 갈등으로 인해 국내 정치 기반을 확고히 다지지 못했다는 비판도 받는다.[130][131]

독일에서는 프리드리히 1세를 영웅적인 군주로 묘사하는 전설이 전해 내려온다. 튀링겐의 키프호이저 산성이나 바이에른의 운더베르크산 동굴에 그의 기사들과 함께 잠들어 있다가, 갈까마귀가 산 주위를 돌지 않게 되면 깨어나 독일을 고대의 영광으로 되돌릴 것이라는 이야기가 있다.[97] 그 이야기에 따르면, 그의 붉은 수염은 그가 앉아 있는 탁자를 뚫고 자랐다고 한다. 그의 눈은 잠결에 반쯤 감겨 있지만, 가끔씩 손을 들어 소년을 보내 까마귀가 날아다니는 것을 멈췄는지 확인한다.[97]

프리드리히가 소년을 보내어 까마귀가 여전히 나는지 확인하게 한다.


현대 역사학자들은 프리드리히 1세의 통치에 대해 다양한 평가를 내리고 있다. 그의 업적과 한계를 균형 있게 조명하며, 당시의 정치, 사회, 문화적 맥락 속에서 그의 역할을 재해석하고 있다.

한국사와의 연관성을 보면, 프리드리히 1세의 통치 시기는 고려 시대(918년-1392년)와 겹친다. 당시 고려는 무신정권(1170년-1270년) 시기로, 무신들이 권력을 장악하고 왕권이 약화된 상태였다. 이러한 점에서 프리드리히 1세의 중앙 집권적 통치와 비교해 볼 수 있다.

참조

[1] 서적 Heiliges Reich Artemis 1977-1999
[2] harvp 2015
[3] 서적 WeltkulturerbeN: Formen, Funktionen und Objekte kulturellen Erinnerns im und an das Mittelalter ; Vorträge der Ringvorlesung des Zentrums für Mittelalterstudien der Otto-Friedrich-Universität Bamberg im Sommersemester 2013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Bamberg Press 2022-02-22
[4] 서적 Geschichte des Risorgimento: Italiens Weg in die Moderne (1770–1870) https://books.google[...] Vandenhoeck & Ruprecht 2022-02-22
[5] 서적 Modernes Mittelalter: Mediävalismus im Werk Stefan Georges https://books.google[...] Walter de Gruyter GmbH & Co KG 2022-02-22
[6] harvp 1969
[7] harvp https://archive.org/[...] 1851
[8] harvp 2000
[9] harvp 1913
[10] harvp 1969
[11] harvp 1969
[12] harvp 1969
[13] harvp 1972
[14] harvp 1957
[15] harvp 1911
[16] harvp 1851
[17] harvp 1851
[18] harvp 1851
[19] harvp 1964
[20] harvp 1851
[21] harvp 1851
[22] harvp 1851
[23] 웹사이트 Representing Royal Authority at San Michele Maggiore in Pavia https://www.academia[...] 2022-07-30
[24] 웹사이트 Federico I imperatore, detto il Barbarossa nell'Enciclopedia Treccani https://www.treccani[...] 2022-10-28
[25] harvp 1969
[26] harvp 1851
[27] harvp 1851
[28] harvp 1851
[29] harvp 1851
[30] harvp 1957
[31] 웹사이트 Peace of the Land Established by Frederick Barbarossa Between 1152 and 1157 A.D. http://avalon.law.ya[...] Yale Law School 1998-12-29
[32] harvp 1851
[33] 가톨릭 백과사전 Pope Adrian IV
[34] harvp 1851
[35] harvp 1851
[36] 서적
[37] 서적
[38] 웹사이트 Frederick I Holy Roman emperor https://www.britanni[...] 2017-08-22
[39] 서적
[40] 서적
[41] 서적
[42] 서적
[43] 서적
[44] 서적
[45] 서적
[46] 서적
[47] 서적 Storia di Torino http://worldcat.org/[...] Giulio Einaudi editore 2006
[48] 서적
[49] 서적
[50] 서적
[51] 서적
[52] 서적
[53] 참고자료
[54] 서적
[55] 서적
[56] 서적
[57] 웹사이트 Frederick I (Barbarossa) http://www.newadvent[...] 2009-05-21
[58] 서적
[59] 서적 La civilization de l'Occident medieval B. Arthaud
[60] 서적
[61] 서적
[62] 서적
[63] 서적
[64] 웹사이트 http://avalon.law.ya[...]
[65] 서적
[66] 서적
[67] 서적
[68] 서적
[69] 서적
[70] 서적
[71] 논문
[72] 논문
[73] 논문
[74] 논문
[75] 논문
[76] 논문
[77] 서적 The Fourth Crusade and the Sack of Constantinople
[78] 서적 Historical Atlas of the Crusades
[79] 서적
[80] 웹사이트 History of the Anatolian Seljuks http://www.turkishha[...]
[81] 서적 Die Tode der römisch-deutschen Könige und Kaiser (1150–1349) https://digi.ub.uni-[...] Ostfildern
[82] 웹사이트 Biography of Frederick I Barbarossa, Holy Roman Emperor https://www.thoughtc[...] 2019-12-03
[83] 서적 The Knights Templar: The Priceless Treasure Discovered Lulu.com
[84] 서적 The Crusades Heinemann
[85] 서적 The Complete History https://archive.org/[...] Ali ibn al-Athir
[86] 웹사이트 Letter on the Sacred Expedition of the Emperor Frederick I https://thehaskinsso[...]
[87] 웹사이트 Deutsche Spuren im Libanon: Auf den Spuren Barbarossas – Deutsche Kaiser-Gebeine in Tyros? https://www.goethe.d[...] 2019-09-24
[88] 웹사이트 Staufergräber – Anlagen https://stauferstele[...]
[89] 서적 The Civilization of the Middle Ages https://books.google[...] HarperCollins 2016-09-24
[90] 논문
[91] 논문
[92] 논문
[93] 논문
[94] 논문
[95] 논문
[96] 서적 Epistles
[97] 논문
[98] 서적 Frederick II
[99] 논문
[100] 논문
[101] 논문
[102] 논문
[103] 서적 J. Laudage: Friedrich Barbarossa https://www.hsozkult[...] F. Pustet 2022-02-19
[104] 학술지 Knut Görich, Friedrich Barbarossa. Eine Biographie, München (C. H. Beck) 2011 https://perspectivia[...]
[105] 서적 J. Laudage: Friedrich Barbarossa https://www.hsozkult[...] Pustet 2022-02-22
[106] 뉴스 Review of Federico Barbarossa nel dibatti storiografico in Italia e in Germania http://www.jstor.org[...] 2022-02-20
[107] 저널 Review of Friedrich I. Barbarossa, Kaiser des Abendlandes https://www.jstor.or[...] 2022-02-20
[108] 서적 The New Oxford Companion to Literature in French https://archive.org/[...] Oxford University Press
[109] harvp
[110] 서적 Land of Unreason Dell Publishing Co.
[111] 뉴스 Here be monsters: AS Byatt is entertained yet baffled by Umberto Eco's latest novel, Baudolino, an uneasy mixture of history and fantasy https://www.theguard[...] 2019-01-18
[112] AllMovie Barbarossa
[113] 웹사이트 The Germans http://www.dw.com/en[...] Deutsche Wells
[114] 뉴스 Mission "Rotbart" am Kyffhäuser: Bundeswehr baut Barbarossa-Bodenbild https://www.bild.de/[...] 2022-08-15
[115] 서적 Chronicle of Hainaut Boydell Press
[116] 웹사이트 Friedrich Barbarossas Kinder http://www.digizeits[...]
[117] harvp
[118] 일반
[119] 일반
[120] 일반
[121] 일반
[122] 일반
[123] 뉴스 佐藤賢一「王の綽名」 「赤髭帝」神聖ローマ皇帝 https://www.nikkei.c[...] 2024-04-10
[124] 일반
[125] 일반
[126] 일반
[127] 일반
[128] 일반
[129] 일반
[130] 일반
[131] 일반
[132] 일반
[133] 일반
[134] 일반
[135] 일반
[136] 일반
[137] 일반
[138] 일반
[139] 일반
[140] 일반
[141] 서적
[142] 서적
[143] 서적
[144] 서적
[145] 서적
[146] 서적
[147] 서적
[148] 서적
[149] 웹사이트 Friedrich Rückert: Gedichte projekt-gutenberg.or[...] 2022-07-24
[150] 서적 Deutsche Sagen Diederich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